고자기장 전도체로 사용되는 기존 및 각광을 받는 재료(Established and emerging materials for use as high-field magnet
- 전문가 제언
-
□ 고자기장 전도체 설계를 해결하는 접근법으로 AI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맥동기간 동안 전도체 온도는 대략 77K에서 300K로 상승한다. Cp/ρe의 고 비율은 보다 더 긴 맥동 기간을 주고 이 비율은 더욱 바람직하다.
□ Cu-SS(스테인리스강)로 된 거시복합물에서 강화가 혼합물 법칙에 의하여 좌우됨에 따라 이 법칙은 또한 복합물 등급의 한계가 된다. 구할 수 있는 강도는 인발 후 스테인리스강의 연성(延性)과 전도체 전선의 최저 허용반경에 의해 제한된다.
□ 고순도 단상구리선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극저온 인발을 수행하는 데에 애로점이 있지만 저온에서 전선을 제조함으로 얻어지는 상당한 장점도 있다.
□ 원위치 미세복합물 재료는 전도체로서 유망하다. 미세구조의 초기크기를 다듬는 새로운 방법은 고 전도도를 유지하면서 증가된 강도의 유망 성을 제공한다.
□ 인발되고 묶어진 미세복합물, 특히 Cu/X 나노 필라멘트 전도체는 아주 높은 강도를 얻는데 대단히 유망하다. 이 복합물은 제조 중 내부 파괴로 인하여 어느 정도 해결할 문제를 지니게 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만 하면 이 종류의 복합물 전도체는 고강도와 고전도도의 우수한 결합을 제공하는데 유망하다.
- 저자
- Spencer, K; Lecouturier, F; Thilly, L; Embury, J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6(5)
- 잡지명
- Advanced Engineering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90~297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