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역학 국제 가상현실 실험실 창설을 위해 NASA가 밟은 단계(A review of steps taken to create an international virtual laboratory)
- 전문가 제언
-
□ NASA가 소유한 미국 신예 전투기의 비행 및 유체역학적 계산 결과는 항공기 제조업체는 물론 연구소, 대학과 국가기관에 귀중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데이터는 이 항공기를 NASA에게 대여한 Lockheed-Martin 항공사의 사외 비밀이며, 기술보안문제에서 볼 때 미국외의 과학자에게 이를 공개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따라서 NASA는 CAWAPI를 조직하여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외국 기관의 인원에게 이 데이터베이스에 특정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완전한 접근을 허락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Lockheed-Martin 항공사의 허가를 받아 여기에 참여하는 기관은 NASA와 비밀준수 협약을 맺어야하며, 그 기관의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인원도 개별적으로 비밀준수 서명을 해야 한다.
□ 그 대신 그 데이터와 비교한 자신의 데이터를 가상현실 실험실의 데이터베이스에 올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이를 공유할 수 있다. 이것은 개인 제작회사나 군사기관이 아닌 NASA이기에 가능한 일이며, 국제공동연구과제로 대단히 큰 규모의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항공기 제작은 유체역학, 재료공학, 기계공학 등 여러 부문의 학문이 종합되어야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그 제작과 성능검사를 통하여 시장, 또는 전투기의 경우 군사적으로 사용되기까지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 우선 이론적인 배경으로 설계가 끝나면 그 모형을 만들어 풍동에서 실험을 한다. 항공기는 하늘에서 속도가 변수이지만 풍동에서는 공기의 속도가 변수로 나타난다. 즉 항공기가 하늘에서 어떤 속도로 비행할 때 그 항공기가 감당해야 할 공기의 저항이 풍동에 고정시킨 항공기에 보내는 공기의 속도가 된다. 여기서 항공기의 안정성 등 모든 요소가 검증된 후 제작에 들어가게 된다. 제작된 항공기 역시 풍동실험을 거친 후 실제 비행실험을 함으로써 그 성능이 검증된다.
- 저자
- Lamar, JE; Cronin, CK; Scott, L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0(3)
- 잡지명
-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63~172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