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제품 섭취와 유방암의 위험(Consumption of dairy products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 전문가 제언
-
□ 종양의 발현이란 인간의 정상적 생활에서 발암요인이 서서히 축적되어 인생의 중·후반기에 주로 발생하므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물이나 음식 재료에 항암인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생산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지름길이다. 따라서 낙농제품의 대표 격인 우유와 발효제품에서 칼슘, Vitamine D, CLA등 항암인자가 풍부한 제품의 연구개발과 생산은 관련 산업 기반을 안정화하고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 CLA는 최근 많은 연구에서 동물 및 사람에 항암효과가 인정되고 있는 성분이다. 지방 및 지방산 성분은 다른 영양 성분에 비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된 식품재료 생산이 용이하므로 CLA가 강화된 우유 및 발효 유제품의 개발을 산업적 측면에 고려하고 있다.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기존의 발효요구르트의 CLA함량보다 10~15배정도 강화된 상업적 제품은 판매되지 않고 있다.
□ 본고에서 보듯이 서구인의 식생활 패턴과 여러 질병과의 역학적인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동양인을 주제로 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기초적인 연구의 중요성은 에스키모인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 불포화 지방산 특히 DHA의 영양의 중요성이 역학조사에서 밝혀져 인류의 건강증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우리나라의 경우도 최근 식생활 패턴의 서구화로 낙농가공품의 섭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최근 김치의 국제적인 식품규격이 제정되었고, 된장 및 고추장도 국제식품규격에 등재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또한 암이라는 질병은 일상적이고 꾸준히 지속되는 식생활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크며, 사람의 일생에서 완숙기 내지는 황금기에 발병하여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인 제반 비용지출 측면에서도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 따라서 국가적으로 우리의 식생활 패턴과 암 등 여러 가지 질병과의 역학적인 상관관계를 과학적으로 연구 확립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것은 국민의 보건건강을 계도하기 위한 과학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과학적인 우수성을 증명하여 전통식품의 세계화 촉진과 아울러 상품 수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저자
- Moorman, PG; Terry, P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80(1)
- 잡지명
-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14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