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성이 높은 생산관리 시스템에 의한 제조판매의 연대와 개별고객에의 대응
- 전문가 제언
-
□ 21세기의 무한경쟁시대에는 공급자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바뀐 시장 환경의 변화와 함께 고객의 선택권이 바로 기업의 존속을 결정지을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 공급자 중심, 생산부문 중심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 차원의 개선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을 지상목표로 한 연구개발(R&D), 생산, 판매, 고객관리 등 경영전반에 걸친 혁신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리더미관리 방식에서 사슬관리방식으로, 그리고 부분의 최적화에서 전체의 최적화로 이행해 나가야 한다.
□ 유연성이 높은 생산관리 시스템의 전개는 기존의 공급형 생산 시스템으로부터 탈피하여 수령형 생산 시스템(Pull Type Production System)으로 전환함으로써 이룩될 수 있으며, 이의 대표적인 시스템이 일본 도요타 자동차에서 개발한 JIT(Just In Time) 시스템이다.
□ 전략경영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전사적 자원관리(ERP), 공급사슬관리(SCM) 및 고객관계관리(CRM)의 융합(Convergence)에 의한 확장형 ERP 시스템이 전개되어야 한다.
□ 기술경영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고객요구를 잘 알 수 있는 영업 또는 마케팅 관리부문이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연구기술개발부문에 피드백 하고, 이들 부문은 고객요구를 토대로 제품개발부문 사이의 연대 강화를 통해 제조판매의 연대와 “개별고객”의 요구에 대응하여 전개해 나갈 수 있는 즉시 납품 시스템의 효율적인 수행이 이룩되어야 한다.
- 저자
- Akira Ni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50(9)
- 잡지명
- 공장관리(E07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3~57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