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제조와 3차원 CAD 데이터(Digital Manufacturing and 3D CAD Data)
- 전문가 제언
-
□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를 3차원 CAD 데이터에 의거한 정보처리 프로세스로 바꾸어 놓아 성능평가와 가공, 조립, 검사에 관한 여러 작업을 전산기 내의 가상세계에서 앞당겨 실시함으로써 제조에 관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이 디지털 제조이다. 한국은 제조업에서 개발도상국과의 치열한 경쟁을 치르고 있다. 이것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앞으로 제조업에서의 국제적인 우위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 디지털 제조의 이용은 생산 공정의 효율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선 자동차 제작과 가전품 제작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함으로써 중소기업에 시범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 제품의 설계, 제조의 흐름은 기획서부터 개념설계, 상세설계를 거쳐 시험제작, 부품제조, 조립, 유통 등으로 이어지는데, 그 흐름 속에서 제품정보의 관리를 병행해 나가는 것이 제품정보의 일원적 관리이다. 제품정보에는 개념도, 시방서, 외관 모델, CAD 데이터, 부품표, 해석용 모델, 가공지시서, 조립지시서, 검사표 등이 망라되어 있다. 여기서 누락되어 있는 중요한 것이 있는데, 즉 재료의 선정표와 부품 및 제품 전체의 강도계산서이다.
- 저자
- Masatomo Inu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9(6)
- 잡지명
- 설계공학(D1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83~288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