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필름의 본질에의 접근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필름은 가까이는 부엌 싱크대 그리고 욕조의 미끈미끈한 물때에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냉각수 설비에 이르기까지 위생상, 설비보전 측면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 특히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단위세균보다 바이오필름에서의 항생제 내성은 매우 높아서, 치석 등 구강염, 요로감염 등에서 살균 및 항생제 개발에 의학계 관심이 높다.
□ 최근엔 바이오필름 내부에 침투하여 살균시킬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되고 효과적인 유기물질 제거 및 방제용 약제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개별 균주의 차이에 따라 적용범위가 아직은 한정되어 있다.
□ 한편, 수 처리 분야에서는 여과지에 생물피막을 형성하여 입자상 및 용존 상태의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처리가 가능해지는 등 생물의 환원 및 산화처리로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처리에 바이오필름을 이용하는 이점도 있어서 인간생활에 유용한 면도 보여 주고 있다.
□ 최근에는 EPS의 다당류 생성 능력을 이용하여, 겔 형성, 수분 함유 및 점착능력 등의 이점을 가진 중합체 매개 원으로 식품, 의약, 화학 등에 산업소재로서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 이렇게 되면 안정된 고가의 다당류를 대량생산으로 확보 가능하게 되어 바이오필름이 바이오산업의 한분야로서 많은 활용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 저자
- Atsushi Kawa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6(8)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4~21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