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상태감시에 대한 진동기술자의 자격인증(Qualification of Vibration Specialist and Engineer on Machine Conditioning Monitoring)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회전기계 관련 자격은 과학기술처 소관의 유체기계기술사가 있고, 산업기사에는 윤활관리 산업기사가 있는 바, 기계보전과 관련하여 기계정비기사, 비파괴검사기사 등이 관련되어 있다.
□ 학회로는 대한기계학회가 학술교류 위주로 활동 중이며, 유체기계공업학회, 설비공학회, 소음진동학회, 윤활학회, 비파괴검사학회 등이 있어 방대한 규모라고 볼 수 있다.
□ 기술자격의 국제인증 관련하여, 아시아태평양 경제협의체(APEC) 회원국 가운데 기술사 제도가 확립된 국가로서 2000년 6월 협정 체결된 APEC 엔지니어는 9개 전문기술 분야가 있어서 유체기계 기술사 자격이 국제 인증되고 있다.
□ 또, 미국, 영국 등 앵글로 색슨계 8개국과 한국, 일본 등 11개국이 2001년 최종 서명 합의된 EMF 국제 등록 기술사도 있어서 범세계적으로 활용이 가능한데, APEC 기술사나 EMF 기술사 모두 계속 교육(CP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이 의무화 되어 있어서 한국기술사회에서 주관하고 있다.
□ 기능사는 다시 기능장, 기능사로 구분되는데, 기계정비 부문 기능사는 있으나, 기계 상태감시와 진단만을 전문으로 하는 기능사 또는 기사, 기술사 체계는 없는 상태이다.
□ 소음진동학회에서 설비진단 관련하여 강습회를 개최하는 등 기술 저변 확대에 애쓰고 있으나, 전문분야를 신설하여 본문과 같이 ISO 18436에도 적극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그동안 규제완화 차원에서 국가기술자격 체계가 완화되고 있는 바, 오히려 해외에서는 전문화가 심화되고 이를 자격 인증하려는 추세여서 우리도 국제자격인증에 동참하여, 과학기술의 글로벌화에 대비함은 물론 과학기술인들의 위상을 적극 제고시키는 정책이 계속되었으면 한다.
- 저자
- Takuzo IWATSUBO ; Hiroyuki MATSU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2(6)
- 잡지명
- 터보기계(B51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21~327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