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심도 지하수로식 배수펌프장(Drainage Pump Station with Deep Underground Conduits)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해마다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해 홍수가 발생하여, 전국 각지에서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더욱 커지고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발하고 있다.
□ 이러한 하절기 장마와 집중호우에 대비하는 수해방지 종합대책으로 상습침수구역에 배수펌프장과 자동 우량 경보시설을 확충하고 있다.
□ 더욱이 급격한 도시화의 확대로 도시의 지표면이 불투수성 포장이 됨에 따라 지표면이 갖고 있던 유수 기능이 줄어서 도시 호우 가능성도 커지고 있어서 빗물펌프장과 유수지의 확충이 필요해지고 있다.
□ 일본은 도시호우 방재대책으로 예 경보시스템, 유수지 등 우수유출억제시설, 빗물펌프장 확충, GIS이용 침수지역도 작성 등을 실시하고 있는바, 본문과 같이 대규모의 우수 지하방수로를 건설하여 침수피해를 막고 있어서 매우 참고가 될 것으로 본다.
□ 우리보다 자연재해를 더 겪고 있는 일본이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이러한 철저한 방재대책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다행히도 낙동강유역 치수종합대책의 하나로 낙동강 방수로(2005~2011년)를 건설하여 낙동강 수위에 따라 남강 상류의 물을 방류시키는 계획이 있는바, 이를 계기로 전국의 주요하천의 침수구역에 도입되었으면 한다.
□ 우수 등 수위변동이 큰 곳엔 본문과 같이 사류펌프가 적합하며, 대용량 및 고양정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채용가능하나, 이러한 펌프장은 무엇보다도 개별 설치위치의 지형과 주위 제반 조건을 파악하여 CFD 설계기법으로 최적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저자
- KANNO Hideki, TAKABE Tetsuo, YAMADA Yoshiyu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2(6)
- 잡지명
- 터보기계(B51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37~342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