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계 발광소자 (Inorganic Single Crystals : GaN Based Light Emitting Diode)
- 전문가 제언
-
□ 1990년대 중반 이후 질화갈륨(GaN) 청색 LED가 개발되면서 LED를 이용한 총천연색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LED는 우리 생활주변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
○ LED의 응용제품으로는 핸드폰의 액정표시소자(LCD)와 키패드용 백라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2002년 월드컵에서 볼 수 있었던 옥외용 총천연색 대형 전광판 및 교통 신호등, 자동차 계기판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 LED 광원은 기존의 광원에 비해 극소형이며, 소비전력이 적고(기존 광원의 1/10), 수명이 기존의 전구에 비해 10배 이상이며, 빠른 반응속도(기존의 1,000배)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환경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국가전략 품목으로 꼽히고 있다.
○ 급증하는 조명용 LED 시장의 선점을 위해 일본, 미국, 대만, 유럽 등 기술 선진국들은 차세대 조명용 LED 개발을 위해 대형 국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삼성전기, LG이노텍, 광주과학기술원, 서울대, 전북대 등 산학연 중심으로 소규모의 연구를 하고 있으나 선진국의 기술과 비교하면 아직 기술력이 매우 미흡하다.
○ 현재,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이라는 국책과제 실천을 위해 산업자원부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40품목을 선정하였으며, LED 산업이 포함되어 있다.
○ 우리나라가 LED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일본, 미국, 대만 등과 같이 국가적 차원의 대형 프로젝트의 시행과 기업, 연구소, 대학 등의 공동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 저자
- Hiroshi Am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1(3)
- 잡지명
- 재료과학과 공학(C22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8~113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