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점접합(FSJ) 프로세스와 시스템 (Friction Spot Joining-Joining Process and System)
- 전문가 제언
-
□ 고장력 볼트로 체결하면 볼트의 강력한 체결력에 의해 접합면은 큰 힘으로 눌리게 된다. 이 큰 힘으로 눌리는 접합면사이의 마찰계수로 인해 강한 마찰력이 발생되게 되며, 이러한 마찰력으로 접합된 부분은 볼트 자체의 전단력으로 지지되는 체결방식에 비해 훨씬 큰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면 접촉을 하고 있어 국부적인 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진동 등에 대한 내성 즉, 내피로 한도가 높아진다.
□ 마찰접합에서 마찰면의 상태가 매우 중요하다. 표준적인 마찰접합면은 자연 발생된 붉은 녹면이다. 이 경우, 접합면의 마찰계수는 0.45 이상을 요구한다.
□ 흑피가 강재의 표면을 덥고 있는 경우는 녹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 부품소재에 볼트구멍을 가공한 이후, 구멍주변을 평 그라인더로 와셔(washer) 지름의 2배 이상 범위 안에 있는 흑피를 제거해야 한다. 흑피 제거의 범위는 볼트를 체결할 때의 접합면 방향으로의 힘의 분포로부터 구한 것이다. 평 와셔의 2배라고 하는 값은 거의 볼트구멍의 표준피치에 가깝기 때문에 실제로 흑피의 제거범위는 연속인 상태가 된다.
□ 녹의 정도는 마찰면에 붉은 녹의 정도가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고, 뜬 녹으로 된 것은 와이어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가볍게 제거하는 것이 좋다. 이때 브러시를 너무 많이 사용하여 면이 광이 나게 해서는 안 된다.
□ 판 두께 6㎜이하의 경량형강의 경우 설계상 마찰계수를 0.23(≒0.45/2)으로 한 경우에는 흑피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 저자
- Shinji Koga ; Yoshitaka Se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7)
- 잡지명
- 용접기술(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39~144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