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 및 열화 메커니즘과 대책
- 전문가 제언
-
□ 건설공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재료 중 하나인 콘크리트는 모래 등 잔골재, 자갈, 쇄석 등 굵은 골재, 시멘트, 물과 혼합하여 죽(paste) 모양으로 만든 무기 또는 유기결합재로서 각종 양생과정을 거쳐 고형화, 고체화 된 것이다. 콘크리트는 포함하고 있는 시멘트와 물의 수화 반응에서 다량의 수산화칼슘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pH 12 ~ 13의 강알칼리성을 띤다.
□ 콘크리트 속에 매입된 철근이나 강재가 부식되지 않는 것은 콘크리트가 강한 알칼리성이기 때문이며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콘크리트의 수산화칼슘이 반응하면 탄산칼슘으로 변해 알칼리성을 잃고 중성화된다. 중성화는 철근이나 강재의 부식을 촉진해 철근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하게 된다.
□ 중성화 이외에 콘크리트의 성능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염화물이 공식을 일으키고 부식진행속도를 가속화하는 염해, 콘크리트에 수분이 침투하여 동결과 융해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하는 동해, 광물질이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 수용액과 반응하여 콘크리트를 팽창시키고 철근의 파단을 초래하는 알칼리골재 반응, 외부에서 침입하는 산화물이 콘크리트 중의 칼슘화합물을 분해하여 발생하는 화학적 침식 등이 있다.
□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좋은 재료의 사용, 시공성(workability)울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물시멘트비의 최소화, 양생조건의 엄수, 적절한 피복두께의 유지, 수분의 침투 방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한번 부식이 되면 콘크리트의 원래 성능을 회복하기가 어려우므로 부식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는 지속적인 관찰과 유지관리가 중요하다.
- 저자
- MIYAKAWA Toyofu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5(4)
- 잡지명
- 방수저널(B5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0~54
- 분석자
- 유*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