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 합금 박판 압연 코일의 여러 특성과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적용례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도 실제로 마그네슘 합금판재의 프레스성형가공기술을 갖고 있고, 양산이 가능한 프레스 제조업자가 많지 않다. 소재 면에서 안정공급이 가능한 메이커는 아직 적고, 일본에서도 안정공급이 가능한 것으로서 마그네슘 합금판재의 판폭이 현재 270mm폭 정도이고, 광폭대응이 급선무가 되고 있다. 판재의 비용에 대해서도 절대적인 사용량이 아직 적기 때문에 효율적인 비용절감을 할 수 없는 현실이다.
□ 휴대용기기의 소형화 및 고급화가 진행되고 있어 재료에서도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실용금속 중에서 가장 경량인 마그네슘은 환경면·기능면에서도 플라스틱 이후의 재료로서 케이싱, 프레임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마그네슘 합금판재는 한국에서도 포스트 플라스틱 재료로써 상당히 각광을 받는 경량이고 강한 재료로서 비용이 저렴해지면 경쟁이 가능한 케이싱 및 프레임용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마그네슘은 환경적응재료로서 사람들에게 가까운 장소(휴대되는 것)에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지구에게 순한 금속재료로서 인지되고 널리 실용화되기를 소망한다.
- 저자
- SOTO ; KAZI ; YAS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52(7)
- 잡지명
- 공업재료(A02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5~71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