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 태양전지의 최신 기술동향(Recent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an Organic Solar Cells)

전문가 제언
□ 1990년대 초반부터 100% 무기 반도체 태양전지를 대체하는 유무기 혼합 또는 순수 유기 태양전지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 1991년 스위스 Lausanne 공대의 Gratzel 그룹이 색소(염료)를 소재로 광합성 원리를 이용하여 색소증감 광전기 화학 태양전지를 개발한 이래 10여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1백년이 넘는 기존 실리콘이나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색소증감 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을 투과시킬 수 있어 건물의 유리창이나 자동차 유리에 그대로 붙여 사용 가능하며, 이미 세계적으로 일부이지만 상용화가 시작돼 조만간 거대한 태양전지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식이 실리콘 공장에서 에너지 흡수효율이 좋고 제작과정이 간편한 색소증감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 현재, 미국, 일본, 스위스 등 선진 각국에서는 국가적으로 대규모 연구팀을 만들어 색소증감 태양전지의 개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박남규 박사 팀이 처음으로 10~20nm 크기의 산화물 표면에 유기 염료를 흡착해 수십μm 필름을 만들고 전극화 하는데 성공하였다.

○ 국내 기업체로는 삼성SDI가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등 아직 개별 단위의 연구에 머물고 있을 뿐으로 국가차원에서의 산학연 대형 프로젝트로의 공동 수행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저자
Liyuan HAN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77(6)
잡지명
색재협회지(E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83~288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