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보증시스템의 구축요령(연재-4)
- 전문가 제언
-
□ 품질관리의 해석은 시대에 따라 약간씩 해석을 달리하고 있다. 특히 초기에는 검사를 통하여 하나하나씩 검사를 실히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던 때도 있었지만 통계학이 응용되면서 불량내용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여 편차를 줄여 나가는 기법을 활용하였고, 지금은 국제경쟁 환경 하에서는 불량단위를 ppm에서 싱글 ppm 단위(6시그마수준)로 관리가 엄격하게 높이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 고객의 입장에서 보면 과거에는 공급이 부족하던 때는 다소의 불량이라도 감수 할 수 할 수밖에 없었지만 요즘과 같이 공급이 수요를 항상 앞 지르는 시점에서는 불량으로 인한 소비자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면 완전히 외면당하고 법제도 또한 강화 되여 제품책임제도가 이미 실시되고 있어서 제품 품질에 대한 민, 형사상 책임을 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과거의 안이한 생각으로 제품에 대한 품질보증문제를 다루어서는 안 되게 되었다.
□ 이러한 상황에서 품질관리를 단순하게 생각해서는 경쟁사회에서 도태 될 것이므로 이를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으로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추구되어야 한다. 또한 진취적인 방법과 함께 한번쯤 지금 실시하고 있는 재래식의 관리 방식을 점검하여 누락 되거나 보완 할 사향에 대하여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 중지를 모아 작성한 규정이나 규칙에 대하여 개폐규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검토하는데 이때 단순화, 표준화, 신속한 조치가 뒤 따라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내용이 종사자에게 충분히 납득되고 실행되기 위해서 연간 교유계획에 따라 현장중심의 반복 교육을 실시하고 진급 및 인사고과에 반영하여 종사자의 자질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저자
- GEICHI GASE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50(1)
- 잡지명
- 공장관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08~113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