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보증시스템의 구축요령(연재-2)
- 전문가 제언
-
□ 품질보증활동에 대하여서는 이미 국제표준화기구 ISO (8402-1004)에서 정의를 “실체가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것이라는 적절한 확신을 주기 위해서 품질보증시스템에서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실중되는 모든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으로 정하여 두고 있다
□ 또한 국제표준화 기구에서는 이미 품질보증에 대한 매뉴얼, 절차서 및 지침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이 제도에 대한 인증을 획득하도록 하여야 하며 규정된 것은 어디 까지나 최소요구 사항임으로 개선에 대한 노력을 계속하고 자체적으로 더욱 관리 범위를 더욱 세분하여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문제는 10년 전의 상품보다 월등히 질적인 면에서 좋아 졌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품질보증에 대한 요구를 하고 있는 것은 그 만큼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또한 고객이 상품에 대한 지식수준이 과거와 달리 많이 앞서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국제사회의 변화이기도 하다.
□ 품질보증이 기간이 길면 길수록 소비자 즉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해당 상품의 판매 신장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는 기업의 생존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당연한 기업 활동으로 생각하고 있다.
- 저자
- KENICHI HASE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49(13)
- 잡지명
- 공장관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02~107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