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격 환경에서 제어시스템의 네트워크 안전

전문가 제언
□ 원격 환경에서 제어시스템의 네트워크 안전에 대해, 시스템의 어디서 어떤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사전에 검토해 두는 일이 중요하다. 안전관리에서 이것을 위험분석이라고 하고, 위험이 현실화 한 경우에 발생하는 오작동이나 사고 등의 구체적인 현상과 그 영향을 평가한다.

□ 위험분석 결과와 안전 요건을 대조해서 필요한 개소에 대책을 강구해가는 구체적인 안전대책을 생각하고 실천해서,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 안전관리이다. 구체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경우, 그 시스템의 성격을 전제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 원격감시/보수시스템에서는, 고객의 시스템이 접속되기 때문에 만일 고객 시스템에 대해서, 자사의 망으로부터 안전 침해에 의한 피해를 준 경우, 손해배상을 요구받거나, 사업상의 신용실추 등 큰 손해를 입게 된다. 안전관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경영층을 포함해서 관련부서가 일체가 되어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정보안전의 국제표준은, 정보계시스템의 중심에 있고, 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대응이 늦지만, 근년 미국을 중심으로 대응을 시작하고 있다. ISA SP99의 활동이 소개되고, 일본도 ISO17799를 기초로 한 ISMS(정보안전관리시스템) 적합성평가제도를 시작하고 있다.

□ ISA-TR99.00.01-2004(제어시스템에 적응할 수 있는 안전기술해설), ISA-TR99.00.02-2004(안전기술의 제어시스템에 실제장치지침)등을 인터넷사이트 http://www.isms.jipdec.jp/ 또는 http://www.isa.org/ content/contentgroups/InTech2/Features/2003/October19/sp99- counterattacks.htm 등의 자료를 참고해서, 원격 환경에서 제어시스템 네트워크 안전을 위한 관리체제가 정립되어 사고예방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저자
Toshiki OG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47(7)
잡지명
계장(A025)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7~32
분석자
남*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