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기계요소의 미소화에 따라, 마이크로 및 나노 기계 등에는 접동면의 저마찰, 고내구성, 심한 접촉운동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얇은 나노미터 수준의 초박막윤활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 윤활막은 흡착성과 유동성의 상반되는 특성이 요구되며, 지향점은 각각이 단분자층으로 되는 궁극의 윤활시스템의 실현이 목표로 될 수 있다.
□ Nagoya공업대학은, 첨단적 나노 마찰학 계측에 의한 정보 기억장치의 혁신을 위해, 하드 디스크 헤드를 공기막으로 부상시키는 종래의 윤활 방식에서, 하드 디스크와 헤드가 1nm 수준의 초박 윤활막으로 고속 슬라이딩 윤활 방식으로의 전환기술을 개발 중이다. 산업기술총합연구소는 나노 윤활막의 기본 특성 계측 및 윤활제 분자의 설계 및 합성에 활용 가능한, 나노 Rheometer 개발로 2002년 문무과학대신상을 수상했다.
□ 이외, 3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PFPE 윤활제의 합성과 하드 디스크 표면에 있어서의 유동 특성(Fujitsu연구소), PFPE 윤활막의 마찰력, 흡착력, 인력에 미치는 습도 영향에 대한 AFM에 의한 평가(Wakayama대학), 자기 디스크 표면의 분자액막의 표면 유동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력 분포(Nagoya대학), 자기 디스크의 부상량 제어를 위한 액티브 헤드 슬라이더의 개발(Kogakuin대학) 등이 추진 중이다.
□ 금속 나노분말 양산화 벤처기업 (주)나노기술은, 2002년 9월 Al, Fe, Cu 나노분말 생산을 시작으로, 나노산화철 화이버 및 제조방법, 복수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투입하는 전기폭발법에 의한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나노분말 제조방법 및 장치, 2003년 12월 부양증발 응축법에 의한 금속 및 세라믹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대해 특허출원 중이다.
□ 향후, 초박막층에서의 효율적인 윤활시스템 구축을 위한, 고체표면의 오염물질 제거기술 개발, 재료특성 및 형상 연구, 고성능 나노 윤활제의 개발, 3차원방향의 확대 적용 등을 위해서는, 마찰학 특성에 대한 환경 인자의 영향, 공정변수 검토, 입자형성기구 해석, 나노입자 분산계 해석 등의 기초연구에도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