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용 가스터빈의 고온화에 따른 손상형태 및 보수기술의 변천(Evolution of Repair Technologies for Heavy-Duty Gas Turbines High Temperature Components)
- 전문가 제언
-
□ 발전용 가스터빈은 복합 화력발전소의 주력기기로서, 대단위 열병합발전용으로 점차 고효율 대용량화하고 있으며, 건설공기가 짧고 기동정지시간이 짧으며, 무공해여서 수요 증가가 계속되고 있다.
□ 가스터빈은 고온 고압하의 연소조건으로 가혹하여 기계기술과 재료기술의 종합기술로서 소재선정과 공정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 효율을 높이려면 압축비와 터빈입구온도를 올려야 함으로 고온 재료의 개발이 필수적이고, 냉각설계와 코팅시스템 등이 중요한데, 고온 특성이 우수한 단결정 합금은 거의 특허로 제한되어 있어서 독자 개발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한전 기공에서 가스터빈의 용접, 코팅제거(striping), 코팅, 밸런싱(balancing), 열처리 등 보수기술과 수명진단기술에 대하여 상당한 수준까지 보유하고 있어 민간 열병합 터빈의 보수에도 참여하고 있다.
□ 아직 고온부품 특히 버킷, 노즐, 연소기 라이너 등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현재 이러한 고온부품 수요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커지고 있어서 수출 시장화하고 있으며, 유지보수사업도 사업단위화 하고 있다.
□ 스팀터빈의 경우 날개 부분까지 상당부분 국산화가 되어 있으나, 가스터빈의 경우 단결정 합금기술의 한계에 와 있는데, 이제는 항공용과 함께 경제적 단위가 되고 있으므로 관련업계에서 적극 참여하여 고온부품의 수출산업까지 지향했으면 한다.
- 저자
- YOSHIOKA Yome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2(3)
- 잡지명
- Journal of the gas turbine society of Japan(M02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78~182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