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판매기의 에너지절약 대책(The Energy Conservation of the Vending Machine)

전문가 제언
□ 캔이나 병 음료의 자동판매기는 1970년대 후반 우리나라에 처음 등장한 이래 편리성과 경제성 등의 장점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약 80만대 이상이 보급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동판매기는 그 특성 상 판매 시간이나 판매량에 관계없이 수납된 판매 상품을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 유지되도록 항상 운전상태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자동판매기의 보급수량이 증가하면서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에너지 효율과 냉매인 프레온 사용 등이 관심의 대상으로 등장하고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 한전에서는 여름철 피크 시간대의 전력 최대수요 억제 및 전기 절감 대상 기자재 중 하나로 자동판매기를 선정하고 고효율 자동판매기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기도 하였다. 또한 산업자원부 고시로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고 고효율 에너지기자재 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에너지 기기의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여기에 자동판매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술기준도 제시되어 있다.

□ 자동판매기가 한국보다 훨씬 많이 보급된 일본에서는 자동판매기 대당 소비전력량을 2005년 까지 2000년도에 비해 약 34% 개선할 것을 정부가 판매기 메이커에게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본문은 일본의 유수한 자동판매기 메이커인 Fuji Electric社가 이미 상당한 에너지 절약 개선작업이 진행된 상태에서 추가로 효율개선을 위한 대책을 여러 가지 검토하고 그 내용을 소개한 것이다. 기술의 기본 방향은 단열과 기밀성의 향상, 냉각대상 구역의 축소와 냉동기기의 효율성 향상이 주가 되고 있다.

□ 고효율 자동판매기의 기술기준 역시 단열강화와 기밀성 향상 등을 통하여 열 손실을 감소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단순한 구조로 보이는 자판기를 다른 각도에서 연구 추적하면 에너지 절감 요소가 추가로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의 에너지효율 대책 내용을 참조하면 추가 절전요소의 발견과 대응 기술 개발에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Koji TAKIGUCHI ; Kimimasa KUBOYA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79(919)
잡지명
냉동(A071)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61~366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