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 음료 자동판매기의 구조와 최신기능(The Mechanism and Latest Functions of a Cup Drink Vending Machine)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자동판매기는 1978년부터 도입된 이래 누적 보급대수는 2003년 말에 백만 대를 돌파하고 있어 자판기는 생활의 한 부분이 되고 있다.
□ 이는 간편하고 신속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적합해서, 초기에 커피 등 음료를 시작으로, 지금은 식품, 담배, 티켓, 신문잡지, 엽서, 휴지, 디카 사진 인화 등 공급 품목이 대폭 확대되고 있고 향후 일본과 같이 완전무인매장 시스템도 등장이 예상되고 있다.
□ 2003년도엔 연간 보급대수 8만대 가운데 커피자판기는 9,800대로서 아직도 1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데, 이는 2003년부터 원두커피 자판기가 개발 판매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 본문에서는 전 세계에서 자판기 대국인 일본의 최신 자판기 현황을 잘 소개하고 있어서, 현황과 향후 개발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고 본다.
□ 우리나라는 초기 커피자판기를 해외에서 도입 및 기술제휴 생산한 이래, 지금은 일부 부품을 제외하고는 많이 국산화 되었고 90년대부터는 지폐식별장치, 코인 메커니즘 등의 핵심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 원두커피 자판기도 매뉴얼로 컵 사이즈 선택이 가능하고 추출과정을 LED 디스플레이로 볼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소비자지향 편의의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 그러나, 자판기의 내구연수는 5~7년에 불과하고 자판기 부품은 특성상 소형화, 고정밀도가 필수적으로 계속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태여서, 담배자판기의 성인인증기술이나 자판기관리시스템기술 등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 따라서, 향후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전자 지불 등 기술개발에 산학협동으로 계속 변신 적용한다면, 수출 전략품목으로도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
- 저자
- Kenichi HAMA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79(919)
- 잡지명
- 냉동(A0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72~378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