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신의 소성가공 기술 : 반용융 단조의 과제와 전망(Latest Plastic Working Technology : Equation of Semi-solid Metal Forging and Its Prospect)

전문가 제언
□ 대부분의 금속 부품들은 완전 고체상태(단조) 또는 완전 액체상태(주조)에서 제조되지만, 최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반용융 성형공정은 주조와 단조의 장점을 융합시켜 니어넷세이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 1970년대 초반에 MIT 대학의 연구팀에 의해 반용융 성형공정의 원리가 알려졌지만, 폭넓은 산업적 응용을 위해서는 맞춤 합금(tailored alloy)의 개발, 재료 물성 및 적정한 공정 모델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근년 반용융 단조기술에 의한 제품의 응용 및 개발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지만 실용 기술로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빌릿 내에 필요한 고상률 분포를 실현하기 위한 가열기술, 액상 성분의 유동을 제어하는 기술, 적절한 유동 및 변형을 위한 빌릿의 최적 형상 및 치수의 설계기술, 제품에 필요한 내부 조직을 만드는 냉각 기술 등의 확립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의 단조산업은 1990년에 들어서야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한 실정이므로 기술적 인프라가 거의 없는 상태이며, 현재는 200여개의 중소규모 업체가 영세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국내 단조 제품은 60% 정도가 자동차 산업에 소요되고, 나머지 40%는 다른 기계 산업에 소요되고 있다.

○ 국내의 알루미늄 합금계 단조 재료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반용융 단조품의 경우는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금속가공 분야에서 기반 산업인 단조산업 특히, 최근 실용화를 앞에 둔 반용융 단조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뒤떨어져 있는 신기술 부분의 연구개발에 의한 기술의 축적이 필요하며, 단조 부품의 고급화와 경량, 단소화 되어가는 다품종, 소량 생산에 맞는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저자
M. Ki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5(5)
잡지명
소형재(E127)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