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강의 디프드로잉 기술(Deep Drawing Technology of Stainless Steel)
- 전문가 제언
-
□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는 부동태피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식성이 좋으며 이러한 부동태피막을 보존하고 유지하는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분, 먼지, 기름, 윤활유, 분진 등이 접촉해서 표면에 녹이 발생하거나 내식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 스테인리스강은 일반 강에 비해 강도가 강하므로 펀칭(punching) 및 절단(shearing) 작업 시 더 큰 압력이 필요하다. 다이스와 칼날의 간격이 정확해야 덧살이나 가공경화가 발생하지 않고 깨끗이 절단된다. 절단 시 플라스마나 레이저절단이 요구되나 가스나 아크 절단을 할 경우 열영향부에 대해 그라인딩이나 열처리를 하여야 한다.
□ 박판(두께 2㎜ 이하)의 벤딩은 굴곡면의 크랙을 줄이기 위해 제품 두께와 같은 정도의 내경반경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판(두께 200㎜이상)의 벤딩은 압연방향 벤딩 시 제품두께의 2배, 압연과 직각방향의 벤딩 시에는 4배의 곡률 반경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스테인리스강을 디프드로잉 할 때에는 마찰과 표면손상이 쉽게 발생되므로 표면 보호를 위해 내압 또는 내열성의 고급용 극압유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성형가공 후에는 표면에 남아있는 기름을 깨끗하게 제거하여야 한다.
□ 화학발색, 에칭, 도장, 코팅된 재료는 특히 변색이나 표면 흠이 발생되기 쉽고 보수 또한 어려우므로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 디프드로잉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 저자
- F. Ohkubo ; T. Mura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5(5)
- 잡지명
- 소형재(E12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8~33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