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일러드 블랭크 용접과 그 응용(Tailored Blanks, Welding and its Applications)
- 전문가 제언
-
□ 테일러드 블랭크(TB) 용접은 자동차 차체에 이용되는 용접으로 그 용접 방법으로는 주로 최근에는 레이저용접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플라스마 용접과 전자빔용접도 이용되고 있다. 레이저용접은 원자 또는 분자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유도 방사로 생긴 강력한 에너지를 지닌 광선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다. 레이저 광선은 높은 에너지 밀도의 집중열원 성격이 강하므로 재료에 미치는 열영향이 적고 열변형도 적어서 레이저 용접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용접이나 절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대기 중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레이저 발생장치에서 떨어진 곳까지 빔을 간단히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쉽다.
□ 전자빔용접은 높은 진공 속에서 텅스텐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열전자를 방출시키고 높은 전압에서 전자를 가속시켜 피용접물을 충돌하게 하여 그 발열에 의해 용접하는 방법이고 플라스마 용접은 수냉제어 노즐에 의해 아크를 긴축시켜 1만~2만k의 고온 플라스마 흐름을 형성시켜 이것을 열원으로 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다.
□ 자동차 차체는 디자인과 함께 강도, 방청, 충돌에너지 흡수성, 경량성 등의 모든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차체 각 부분에 차체를 구성하는 패널은 수백이 넘고 차체 정밀도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품 개수를 줄이는 것이 좋다. 자동차에서 테일러드 블랭크는 철강 판을 목적에 따라 레이저로 접합시키는 소재로 되어 있다. 이러한 테일러드 블랭크를 이용하는 것은 부품개수의 감소가 가능하며 차체 정밀도 향상이나 경비 절감에도 도움이 되고 판 두께나 재질의 최적배치로 자동차의 성능향상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충돌 안정성 향상이나 또는 경량화의 필요에 따라 그 응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 최근 자동차 기술에 의한 경량화에도 불구하고 충돌안정성과 쾌적성의 요구로 자동차 중량은 최근 이삼십년 동안 30%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환경문제 때문에 경량화 요구는 점점 강화되고 있다. 현재 철강재료 중에 자동차용으로 차지하는 것이 과반수이다. 향후 철강의 고장력화에 따라 테일러드 블랭크의 적용이 증가하고 철강 재료가 충돌 안정성과 동시에 경량화에도 기여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 저자
- Hiroo Ishibashi ; Yasunobu Miyaz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6)
- 잡지명
- 용접기술(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8~62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