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기능재료( Energy Storage Systems and Functional Materials)
- 전문가 제언
-
□ 인류는 현재 지속 불가능한 에너지 체제 하에서 살아가고 있다.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 궁극적인 깨끗한 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것이 연료전지이다. 기존 휘발유 엔진에 비해 열 손실이 없고 에너지 효율이 2배 가까이 높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수소에너지 시스템을 근간으로 함에 따라 온실가스 등의 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
□ 에너지 저장기술의 실용화는 우리들의 생활에 넓게 영향을 미치고, 산업에의 영향도 크므로 다양한 기업이 각각 주변기술을 포함한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21세기 생활을 바꿀 핵심기술인 연료전지가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어 몇 년 안에 자동차, 잠수함, 노트북컴퓨터, 심지어 휴대전화의 배터리까지 대체할 전망이다.
□ 에너지 고갈과 지구온난화를 극복하기 위해서 선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길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원자력 이외의 에너지원 중에서 온실기체를 적게 방출하는 에너지원, 즉 재생가능 에너지원을 개발해서 사용하는 일일 것이다.
□ 연료전지는 핵심기술의 하나로 매우 다양하게 응용될 것이며, 우리나라도 연료전지의 실용화를 위한 종합정책을 수립하고 관련법규를 제정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연료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하겠다. 이에 따라 산학연이 하나의 유기체를 구성, 핵심기술 관련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현재 국내의 기술 수준은 전반적으로 기초연구 단계이지만, 선진국 역시 아직은 개발초기 단계인 만큼 앞으로 지속적인 투자가 뒤따른다면 빠른 시일 내에 기술격차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Noboru S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24(7)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0~56
- 분석자
- 이*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