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고기능 표면처리 강판(Functional Surface Treated Steels for Automotive Bodies)
- 전문가 제언
-
□ 표면처리강판이란 냉연강판이나 열연강판에 아연 등을 도금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 제품이다. 제조방법에 따라 전기아연도금강판과 용융아연도금강판으로 나뉘며 최근에는 자동차용으로 용융아연도금강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용융 아연도금강판이란 열처리된 강판을 용융 아연 도금욕을 통과시켜 만든 제품으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도장성이나 가공성․용접성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아연도금층을 재가열하여 도금층을 아연과 철의 화합물로 만들어 주게 되는데 이것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이라고 부른다.
□ 최근에는 아연도금강판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윤활강판과, 자동차사의 도장공정 일부를 단축하기 위하여 아연도금강판 표층에 수지 등을 이용한 프리프라임(pre-primed) 강판, 프리실링(pre-sealing) 강판, 프리페인트(pre-painted_ 강판 등과 같은 수지피복 강판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자동차용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도금은 성분설계 외에 프레스 도금층의 형성, 산화-환원 가열법에 의한 선택산화, 농축 억제, 내부 산화물의 생성에 의한 표면 농화량의 저감 등 성분제약을 완화하는 도금 전처리의 검토를 실시하여 향후에 종합특성이 뛰어난 고강도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 개발이 진행되어야 한다.
□ 진공증착, 특히 물리증착법(PVD)은 기존의 표면처리강판 제조기술인 용융 도금과 전기도금법에 비해서 다양한 물질계를 도금할 수 있으며 도금부착량 제어가 용이하고 여러 형태의 합금 및 다층도금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비 구성에 따라 월등히 높은 생산성 구현이 가능하고 본질적으로 무공해 공정이다. 진공증착법은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차세대 표면처리강판 제조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 저자
- Chiaki Kato ; Masaaki Yamashi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24(7)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0~39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