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내 공기 오염 대책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대기상에 분산되어 있는 VOC물질의 농도나 아황산가스 및 질소산화물이나 미세먼지농도가 특히 인구밀집지역과 교통량의 증가에 기인하여 중대한 환경문제로 대두하고 있으며 신축건물에서의 새집증후군증후근현상도 이미 선진국에서 그 문제의 심각성이 제기된 후 점차로 우리에게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 합판이 중요건자재로 쓰이던 과거에는 합판의 접착제로 아무런 규제 없이 사용되던 포름알데히드가 현재는 사용금지에 이르렀고 기타 석유화학분야에서 중요한 중합이나 합성재료로 쓰이는 화학물질이 결국은 모두가 실내오염을 일으키는 주요한 화학물질로 인정되어 실내오염 화학물질로 규제를 받고 있다.

□ 코팅이나 접착제품에서의 유기화학물질의 사용규제의 영향으로 용제형은 비용제형으로 또는 수성으로 변환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소재와 공정이 소위 사전오염방지기술 또는 청정기술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적인 지원이나 기업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고 있는 이유도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보건 위생적인 영향연구에 기인하는 것이다.

□ 지금까지 살펴본 일본에서의 실내공기오염대책을 비롯한 새집증후군대책에 대한 현상과 대표적인 환기와 통풍의 필수적인 중요성 및 화학물질에 대한 개인차의 문제 등은 실내공기오염방지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인식하고 있어야 할 기본지식을 제공한 것으로 주택의 설계자나 건자재의 제조사업자 및 시공자 등이 꼭 알고 대처해야할 것으로 생각하며 일반인들도 주거생활에서 반듯이 이해하고 조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저자
MASE ; SAWACHI ; YANAGISAWA ; MIYASH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5(7)
잡지명
월간지구환경(E35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0~78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