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SI 설계분야 EMC기술의 최신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전자산업의 눈부신 발전, 무선통신 서비스의 비약적인 증가 등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은 편리하고 풍요로움을 누리게 되었다. 반면에 전자파에 의한 통신장애,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전자 기기의 오동작,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등 다른 문제점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 특히 고속 디지털 회로기술, RF 기술의 발전에 따라 주파수대역이 광대역화 되고 높은 주파수 영역까지 확대되었으며, 마이크로파 대역의 불요 전자파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CISPR에서는 주파수 1㎓ 이상에서의 전자파 방출 및 전자파 내성에 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마이크로파 대역에서의 전자파 적합성 평가기술에 관해서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므로 전자파 규제 상한 주파수가 18㎓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불요 전자파의 발생 및 이에 감응하는 내성 등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 및 규제가 차츰 확대 및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외 수출상품 중 전기전자 관련 제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해외 각국의 기준을 필수적으로 준수하여야 하므로 국가 경제발전 차원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 현재 미국, 일본, 유럽국가 등의 산업계에서는 전자파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EMI/EMC 분야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여 EMC에 관한 연구 및 시험, 하드웨어 개발 및 장착 등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EMI/EMC 해석 및 설계기술, 대책기술, 측정기술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EMI/EMC 분야 기술기반이 취약하고 전문 인력이 크게 부족하여, 일부 대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체에서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책을 강구하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분야의 연구개발도 미약한 실정이다.
저자
Takeshi WATAN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17(2)
잡지명
전자환경공학정보EMC(F209)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88~97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