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네이션용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Reactive Hotmelt Adhesives for Laminations)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재료는 각각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특성이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의 하나인 복층화 필름은 1970년대부터 국내에 소개된 대표적인 라미네이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흡수성방지 목적이나 미려한 인쇄특성을 살린 담배포장이나 조미료포장 등에 사용되었다.
□ 보통의 핫멜트 접착제도 사용이 상당히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주로 제책시의 접착이 양적으로 가장 자주 쓰인 분야이었으며, 다만 국내 제조기술의 열악으로 핫멜트 재료의 대부분을 일본 및 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다가 근래에 일부는 국산으로 상당부분 대채하고 있다.
□ 근래에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가 섬유와 통상적 수준의 내장용 인조건재의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고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국내에서도 개발 및 응용이 상당수준까지 진척되어 상품화 정도가 일취월장하는 과정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 발표한 우레탄 화학에 기본을 두고 있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의 일본에서의 응용예와 이 제품이 요구하는 요구특성 등에 대한 상세한 접근은 이 분야에 상품의 고기능화 및 up-grade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국내 산업계의 연구자들에게 국내 기술수준과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는 괜찮은 가이드가 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 저자
- Tatsuya AM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6)
- 잡지명
- 일본접착학회지(J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65~269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