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계우레탄수지의 접착제및 도료분야에 응용(Water-Borne Polyurethane For Adhesives and Paints)

전문가 제언
□ Polyurethane수지의 중요한 이용분야인 접착제, 엘라스토머, 코팅, 실란트 등 소위 CASE용 PUR은 건설산업분야에서 특히 상당한 역할과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도료 등에 있어서 용제형 PUR로 인한 VOC물질의 배출에 기인한 대기오염의 우려와 실내건물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로 인한 sick house 증후군 현상이 환경사회적인 커다란 잇슈로 close-up되고 있다.

□ 일본에서는 환경분야에서 최근에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논의와 VOC와 관련된 sick house 대책문제가 가장 빈번하게 환경사회적인 문제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여러 가지의 기발한 환경정책이 개발되거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많은 유기화학물질들이 이미 환경호르몬 물질의 주된 성분으로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비록 건축재료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은 도료나 접착제 등에서 경시적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배출되는 유기용제물질들이라도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이고 주거자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및 환자의 피부나 호흡기에 주는 영향은 더 치명적일수도 있다.

□ 본 논문에서 발표한 수계 PUR을 이용한 건물용 도료나 접착제의 개발은 우리나라의 페인트 및 접착제 메이커에서도 하루빨리 개발에 참여하여 기존의 유기용제 베이스 위주의 도료나 접착제를 완전히 대채할 수 있도록 해야할 때가 되었으며, 특히 아사히덴카사(旭電化工業)의 연구개발본부에 근무하는 필자가 제시한 연구개발과정에서 경험한 몇가지 중요한 힌트와 문제점은 국내 연구자에게도 많은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자
Takashi NAKAH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0(6)
잡지명
일본접착학회지(J13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57~264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