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성폴리우레탄(Development of Waterborne Polyurethanes)
- 전문가 제언
-
□ 이온 혹은 비이온성 친수기를 유화제로 하여 수중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waterborne PU (WBPU), (수계PU)라 부른다.
□ 이온성 PU는 주 사슬에 이온성 구조를 갖고 있어, 유화제를 특별히 사용하지 않아도 수계 분산을 형성하는 특이한 성질이 있어 PU의 장점과 아울러 환경 친화적으로 수계 용액을 사용해서 PU 공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매우 기대가 되는 소재이다.
□ 이온기를 PU에 도입하면 그 양이 소량이라도 이온의 존재에 의해 형성되는쿨롱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이온들이 서로 응집하여 이온성 도메인을 형성하여 이온성을 갖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특성이 아주 다른 하드도메인과의 상분리를 형성시키고, 한편 접착을 촉진시키므로, 이온의 존재가 PU의 성질에 크게 영향을 준다. 이온성 PU의 특성은 고분자 사슬이 갖는 전하의 종류(양이온, 음이온, 양쪽성이온), 전하의 위치(주사슬, 곁사슬, 사슬말단)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 이온성 PU가 갖고 있는 특별한 성질로 인하여 기존의 수용성 수지의 개질제적인 사용방법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왔다. 최근에는 환경 오염방지 차원에서 용제계가 사용되고 전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교체되는 재료로서 검토되기 시작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PU의 구조,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 아크릴 에멀젼 등의 다른 수지와의 복합화에 의해 기능을 더 향상시키는 방법, 혹은 용제계와 같이 경화제로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수계에서 사용하는 기술 개발 등이 앞으로도 더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저자
- Kyoko HIRAO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6)
- 잡지명
- 일본접착학회지(J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7~233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