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나노로 창출하는 새로운 과학(Application of Nanophotonics to Biological Research)

전문가 제언
□ 탄소원자가 어떻게 정렬하느냐에 따라 다이아몬드로 될 수도 있고 또는 흑연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으면서도 금속을 nano크기로 했을 때 그 성질이 원래의 금속 성질과 전혀 달라진다는 것에 대해서는 우선 경이로움을 느낀다. 이는 단지 우리가 지금까지 이러한 물질을 nano크기로 다루는 기술이나 방법이 없었을 뿐이다. 지난 20세기가 micro시대라고 한다면 오늘날 21세기는 nano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화학이나 Biotech분야에서 다루어 온 대상은 이미 오래전부터 원자, 분자, DNA, 단백질, 리보솜 등 nano크기였으나 이러한 물질을 다루는 기술이나 방법은 macro내지 micro적이었다.

□ 이러한 nanotechnology가 소개된 지 불과 수년 사이에 biotech분야에 접목되어 생체분석, biochip 등에 응용되기 시작하여 그 발전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고 있다. SPM, NSOM, FRET등 단일세포분석기기들이 선보이는가 하면 형광물질표지 대신에 양자점(quantum dots)을 응용하게 되고 있다. BioMEMS 기술과 nanorobot의 개발은 앞으로 유전자 vectors 개발에도 응용될 날이 멀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 현재 국내에서도 국책사업으로 학계나 출연연구기관이 nanotech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의욕만 너무 앞세운다면 실효를 거두기가 매우 어렵다. 이 분야는 워낙 방대할 뿐만 아니라 특히 nanobiotech만 하더라도 그 분야가 매우 세분되어 있으므로 이 분야 전문연구인력의 질적이고 양적인 수준과 국내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중 투자로 연구할 수 있는 분야를 선별해야만 효율적인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저자
Akito ISHI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42(6)
잡지명
화학과 생물(L109)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65~371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