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관상동맥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Coronary artery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전문가 제언
□ 관상동맥, 뇌혈관, 그리고 말초 혈관의 혈류 속도의 이상 여부와 혈관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즉 체외에서 카테테르(catheter)라는 가는 관(2mm정도)을 혈관에 넣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상에서 혈관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재래식 혈관조영술(CA)이나 컴퓨터 단층 혈관조영술(CTA), 자기공명 혈관조영술(MRA), 그리고 혈관 초음파술(VS) 등이 그 예이다. 여러 가지의 혈관검사 방법이 있지만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환자의 진단에 가장 적합한 검사방법과 검사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글에서는 심장혈관 자기공명 영상(CMRI)과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의 역사적 배경과 MRA 성능에 대한 기술적 요구조건, 그리고 시각화를 위한 새로운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또한 관상 동맥의 병인과 가와싸기 병과 같은 선천성 질환에 대한 응용에 관해서도 서술하였다.

□ 자기공명 영상(MRI)의 도입 이후 MRI가 다면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조직 대 조도가 높으며, 혈관의 묘사능력이 민감하여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MRI가 CT보다 우수한 영상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MRI는 아직까지 수술이나 동맥 색전술 등의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상세한 혈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는 재래식 혈관 촬영술을 대신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심질환 자기공명 영상(CMRI)과 동일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기술적인 방법들이 개발되어, 부작용이 없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기공명 혈관조영술(MRA)이 관심을 끌고 있다.

□ 최첨단의 심혈관 촬영장치로, 방사선을 이용하여 혈관의 질환을 투시하여 검사와 치료를 완벽하게 시행할 수 있는 혈관 조영촬영기가 미국 GE에서 개발되었다. 이 장비로 심장외과 의사와 방사선과 의사가 체외에서 도관(catheter)을 가지고 비침습적으로 검사 및 시술을 시행한다.

□ 국내에서도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원종윤 등은 “반측 안면경련 환자에서의 자기공명 영상과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 대한 연구를, 윤대영 등은 “두개내 동맥류의 평가에서 자기공명 혈관조영술과 CT 혈관조영술의 비교”, 그리고 김성희 등은 “뇌동맥 기형에 있어서 자기공명 혈관조영술과 뇌혈관조영술의 비교” 등의 연구를 발표하였다.
저자
Flamm, SD; Muthupillai,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9(6)
잡지명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86~709
분석자
주*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