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심장 질환을 위한 MR과 CT 평가(MR and CT assessment for ischemic cardiac disease)
- 전문가 제언
-
□ 허혈성 심장 질환(ICD, Ischemic Cardiac Disease)은 산업화된 국가에서 전체 질병과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병의 진단과 치료는 건강관리 시스템에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ICD에서 비 침습 심장 영상을 촬영하는 주 목적은 심장 기능을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사전 평가를 하는데 있다. 심근경색 후 예상되는 심근 괴사의 범위와 좌심실의 수축성 기능 장애의 정도는 깊은 상관 관계가 있다. 여기서는 ICD를 사전 평가하기 위한 영상 촬영법으로 자기공명 영상진단(MRI, Ma- gnetic Resonance Imaging)과 다중검색 컴퓨터 단층촬영(MDCT, Multi Detector Computed Tomography)의 속성과 한계점 및 ICD의 적용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 심근을 침범하는 질환을 진단하는 데는 심장 초음파 검사가 일차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심장 초음파 검사는 사용이 편리하고 형태학적인 진단과 기능적인 분석을 동시에 쉽게 할 수 있다. MRI는 심장 초음파 검사의 보완적 역할을 해 왔다. 최근에는 MRI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심근 질환과 심장 질환에서도 MRI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하다.
□ 이 분야의 최근 국내 연구들은 심근 표지법(myocardial tagging)을 이용하여 판막 질환에 따른 심근 비후의 병태 생리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MRI를 이용하여 좌심실의 분할과 가시화에 대한 연구, 허혈성 승모판 폐쇄 부전증의 원인 규명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앞으로 MRI를 이용한 고도의 임상기술 그리고 유전학, 발생학, 분자생물학 및 심장 병리학 등 첨단 연구팀의 협동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진료와 부검, 동물 모델에 대한 연구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한 포괄적인 연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 국내에서도 MRI에 대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에서는 초전도 MRI 장치를 개발하였다. ISOL Tech사에서 1.5T MRI CHORUS를 개발하였다. LG사에서 SPECTRO 2000 MRI가 이미 상용화되어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MRI 방법은 그 다양성과 안전성, 의학적 활용도에 따라 앞으로 더욱 발전할 여지가 많은 첨단 장비 산업이다. 의학과 공학이 접목한 고부가 첨단 기술로서 국가의 연구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술이다.
- 저자
- White, R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19(6)
- 잡지명
-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59~675
- 분석자
- 주*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