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어머니에서 아이로 전염되는 HIV의 예방법(Prevention of mother-to-child transmission of HIV infection)

전문가 제언
□ HIV는 사람의 면역세포를 공격하는 바이러스로 HIV를 가졌다고 해서 에이즈(Acquired Immuno Deficiency Syndrome, AIDS)에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AIDS를 가진 사람은 HIV를 가지고 있다. HIV가 우리에게 면역세포로 잘 알려진 T-세포와 관계된 CD4 수용체를 공격하여 바이러스를 증식하면 T-세포가 죽게 되고 면역계에 혼란으로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

□ 이러한 바이러스가 전염될 경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HIV에 감염된 어머니로부터 애기에게 전염되는 경우가 전 세계적으로 근본적인 원인이다. 최근에 제왕절개를 통한 출산이나 분유를 사용하기도 하고 또 항바이러스 치료를 통해 임신과 출산전후에 감염을 상당히 감소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선진국에서는 어머니에서 애기로 감염(MTCT)되는 HIV를 임신부를 일찍 찾아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면 퇴치될 수 있다.

□ 그러나 실제로는 상당수의 산모가 임신 중 검사나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인구나 지역에 따라 이러한 조치는 대단히 힘드는 일이며 어머니로부터 아이에게 HIV가 전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인구단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이 논문에서는 최근에 어머니에서 애기들로 감염되는 위험인자에 어머니가 갖고 있는 혈장, 생식기관 또는 모유속의 바이러스 량이 중요하다는 사실과 애기의 성(Gender) 등이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부모에서 자식으로 옮기는 HIV 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여러 나라에서 실험한 결과 지역이나 나라마다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조숙한 혈액형성이나 미토콘드리아의 이상을 야기하고 이러한 약제에 대한 내성에 대해서도 염려하고 있다.

□ HIV하면 많은 사람이 문란한 성관계와 동성연애자에게만 나타나는 전염병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수혈이나, 어머니의 모유를 통해 아기에게 옮겨지기도 한다. 이 병을 퇴치하기 위한 노력이 여러모로 경주되고 있으나 아직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특히 아이들에 대한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Thorne, C; Newell, ML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7(3)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NFECTIOUS DISEAS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47~252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