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표 배경 오존의 수준과 경향 개관(A review of surface ozone background levels and trends)

전문가 제언
□ 오존이라면 세 가지 개념이 우리에게 떠오른다. 첫째 성층권에서 자외선 복사를 막아주는 오존층과 대기권에서 공해물질로서의 오존, 그리고 살균제나 표백제로서 사용하는 물질로서의 오존이다. 본문에서는 둘째의 오존을 다루고 있다.

□ 본문은 인간의 경제활동에 결과로 발생하지 않은 자연적으로 생성된 대기권의 오존 농도를 다룬다. 그러나 인간의 경제활동에 의하여 생성된 오존과 자연적으로 생성된 오존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인간의 경제적 활동에 가장 영향을 덜 받으리라고 생각되는 원격지의 관측소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이라고 하나 실제로 오존의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한 것은 최근이다. 따라서 현재 비축된 데이터는 최근의 것이며 20세기 초반에만 해도 한 관측소가 계속하여 몇 년간 오존을 관측한 기록이 없다. 따라서 현재의 데이터는 완전하지 못하나 이것을 가지고 산업혁명 이전의 오존의 농도, 오존 농도 변화의 경향과 21세기의 오존의 농도를 예측하고 있다.

○ 본분은 주로 지구의 북반구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늦봄, 지역에 따라서는 이른 여름에 오존 농도가 최고로 나타난다고 한다. 그 원인에는 정설은 아직 없으나 봄이 되면 증가하는 태양의 복사광 중 자외선이 겨울 동안 대기 중에 비축되어 온 산화질소, 일상화탄소나 탄화수소와 광합성을 일으키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 본문에서 오염물질의 대륙간 이동을 다루고 있다. 그 중 아시아의 오염물질이 태평양을 건너 북미 대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또 산화질소 발생량의 증가는 중국이 가장 크다고 한다. 그 원인은 중국에서 에너지원으로 유연탄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중국의 공업화로 그 사용량이 날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오염물질이 태평양 건너의 북미 대륙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면 가까이 있는 우리나라의 피해는 논의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저자
Vingarzan,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8(21)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31~3442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