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백질 연구에 응용되는 생물학 지식 (Shaping biological knowledge: applications in proteomics)

전문가 제언
□ 생물정보학(생명정보학이라고도 한다)은 1990년대 초반에 생겨난 용어로, 어원은 생물학과 정보학의 결합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유전체(Genome)의 기능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인류 혜택을 실현할 포스트 게놈 시대(Post Genome Era)에 새롭게 부상한 학문이다.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밝혀낸 유전자의 기능을 재구성해 생명공학에 다양하게 응용하도록 해주며, 이밖에도 단백질체학 등 기초생물학, 의학, 응용생물학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 염기 수천에서 수만 개가 모여 유전자 1개를 구성하는데 인간 유전자 10만 개 중 어느 유전자, 나아가 유전자 중 어느 부분의 이상으로 유전병이 일어나는지 밝혀내려면 처리해야 할 정보량이 천문학적 규모로 방대해진다. 이처럼 많은 정보량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유전자 예측 프로그램 개발, 생명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 정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최근 수십 년간 분자생물학과 이의 연구에 사용되는 도구들의 발달로 Saccharomyces cerevisiae등의 진핵생물은 물론이고 여러 종의 유전체의 많은 부분의 완전한 서열해독이 무척 빠르게 이루어졌다. 현재는 Human Genome Project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 계획은 인간의 24개 염색체의 서열을 밝히려는 계획이다. 인기 있는 유전자 서열 데이터베이스 즉 GenBank와 EMBL은 함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는 서열정보를 조심스럽게 저장하고, 정리하고 목록화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리하여 생물에 정보과학이 접목되어 생물정보학이 생긴 것이다. 생물정보학의 긴급한 과제는 서열정보를 해석하는 것이며 이 절차를 위해 Computational Biology가 관여하는데 이것이 해야 할 일은 여러 생물체의 DNA 서열에서 유전자를 발견하고, 새로 발견된 단백질과 구조적인 RNA 서열의 기능/구조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 단백질서열들을 군집하여 관련 서열과(科)를 만들고 동물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저자
Lisacek, F; Chichester, C; Gonnet, P; Jaillet, O; Kappus, S; Nikitin, F; Roland, P; Rossier, G; Truong, L; Appel,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5(2)
잡지명
COMPARATIVE AND FUNCTIONAL GENO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0~195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