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체/금속 계면의 계면 쌍극자와 유기 태양 전지(Interface dipole at organic/metal interfaces and organic solar cells)
- 전문가 제언
-
□ 태양전지 분야에서 유기 반도체는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태양전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정이 있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비유기체 분야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더욱 더 저렴한 비용으로 더욱 더 효과적인 성능향상을 위해서 향후 연구가 요구된다.
□ 유기체 층의 위에 금속 계면이 있는 경우에 금속 전극은 유기체의 층위에 있는 금속층에서의 증기 침전물에 의해서 얻어진다. 이러한 형태 즉, 유기체 위의 금속 계면 형태에 관한 연구는 발광 다이오드 분야 등에서 매우 활발하게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두 상 즉 전자 공여자와 전자 수여자는 서로 대응한다. 최근에 제안된 모델은 전자 공여자와 전자 수여자의 분자 사이의 계면에서 쌍극자가 나타난다고 여겨지며, 또한 모든 운반자는 전자 공여자와 전자 수여자 사이의 계면에서 나타난다고 여겨진다.
□ 간단한 운동의 모델은 그 장치를 통과하는 전자의 1차원 전류 밀도가 비평형 힘, 전기의 위치에너지 구배 혹은 화학적 위치에너지의 구배 등에 의해서 두개의 서로 독립적인 전자의 유동으로부터 일어남을 보여주며, 이 모든 것들이 태양전지의 광전효과를 나타내는 요인들이다.
□ 전기의 위치에너지 구배 혹은 화학적 위치에너지의 구배 등은 두 개의 서로 독립적인 전자의 유동으로부터 일어나며, 이들은 태양전지의 광전효과를 나타내는 주요한 요인들이다.
□ 이 연구의 수행 결과는 유기체에 그 기초를 두는 태양전지의 충전과 방전 현상 시 전극 부근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위치에너지 또는 계면 쌍극자의 조절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저렴한 생산비용 측면 및 생산의 용이성을 볼 때, 태양전지 분야에서 유기 반도체의 역할이 기대된다.
- 저자
- Crispin, X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83(2-3)
- 잡지명
-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147~168
- 분석자
- 곽*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