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의 새로운 접근법(New approaches to hemodialysis)
- 전문가 제언
-
□ 혈액투석이란 만성 신부전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 신장기능이 심히 저하되면 투석이나 신 이식을 실시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장질환이나 손상에 의하여 체내에 축적된 수분과 노폐물을 혈액으로부터 제거하여 신장의 배설기능을 대신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체의 신장과 동일한 작용은 할 수 없고, 투석으로서의 작용에 국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혈액투석의 새로운 접근법을 서술하고 있고, 그 내용으로 투석의 배경, 기존 투석법에 대한 대안법, 앞으로의 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 혈액투석 중 발생할 수 있는 내과적 문제로는 고혈압이나 저혈압, 근 경련, 용혈현상, 두통, 그리고 투석 기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및 혈액 손실 등이 있기 때문에 혈액투석을 실시하기 전에 확인해야 할 환자의 체중, 부종, 활력증상, 불균형증, 근육경련, 가슴통증 등 환자의 소양증과 다양한 혈관 합병증 유무를 면밀히 사정해야 한다. 혈액투석 환자들의 고립된 생활과 폐쇄적인 삶의 특징으로 그들의 건강관련 문제를 위하여 환자들의 건강을 고려하는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환자들이 경험하는 건강문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의 2000년 말 기준으로 25,000여명의 말기 신부전 환자가 약 270여개소의 의료기관에서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 혹은 신장이식 등의 신대체 요법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환자 수는 매년 약 15~20% 씩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혈액투석 환자의 증가율은 매년 20%를 넘고 있다. 이 환자들은 평생 동안 이 신대체 요법을 시행 받아야 하고, 이 요법 중 한 가지에서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유지하기 어려우면, 다른 요법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들의 대한 신대체 요법의 치료관리는 매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말기 신부전 환자는 약물 대사속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있어서 요 독증에 의한 면역억제 상태에 있으므로 짧은 시간 동안에 개개인의 의학적 상태에 대한 부주의에 의하여 부작용이 심각히 발생될 우려가 있으니, 약제 선택 및 치료에 고려할 전문성이 요구되므로 신장 전문의들은 이 환자들의 의료정보를 별도로 관리해야 한다. 그리고 의료기관과의 의료정보 교환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의료정보의 전산화 및 신대체 요법을 시행하고 있는 각 의료기관의 표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Pierratos,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55
- 잡지명
- ANNUAL REVIEW OF MEDI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79~189
- 분석자
- 주*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