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전달시스템 :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Drug delivery systems: Past, present, and future)
- 전문가 제언
-
□ 세계적으로 약물전달 시장은 2002년에 250억불에 달했으며 미국 내에서 앞으로 몇 년간은 년 10%이상의 성장이 기대된다. 여러 요인들이 약물 전달분야의 성장을 유도하고 있는데 특히 이 시장의 성장은 특허가 끝나는 기존 약제의 전달기술, 유전공학의 발달, 화합물들의 빠른 자동검색 기술과 Genomic/Proteomic 지식 등으로 앞으로 많은 새로운 생리활성 화합물들이 이끌 것이다. 이들 대부분은 단백질 혹은 Peptide등의 거대분자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의 전달방법 및 제제가 앞으로는 큰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약물전달 조절기술의 개발은 약물활성의 최대화와 얼마만큼 이 활성을 지속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약물 방출조절 시스템의 최적화 설계에는 약제의 Pharmacokinetics 및 Pharmacodynamics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Pharmacokinetics는 사용하는 약물전달 시스템과 직접 관련이 되며 치료 방법을 설계하는데 있어 약물의 표적부위 및 비 표적부위에서 Dose-Time Profile의 최적화가 제일 중요한 면이다. 이때 표적장기와 세포부위에서의 약물의 Profile은 약물이 표적에 전달되는 속도와 이곳에서 제거되는 속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Pharmacodynamics는 그리 많이 연구되지 않아 체내에서 약물의 농도와 치료효과의 관계가 잘 정의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약제는 부작용이 있기 마련이어서 최적의 약물전달제제는 투여약물 농도의 범위를 좁게 하여 과도의 농도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는 것이다. 치료 작용과 부작용의 Pharmacodynamics는 투여방법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 약물을 원하는 특정부위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오늘, 내일의 문제가 아니며 항상 중요한 생의학적 과제로 남아 있을 것이다. 고분자, 나노입자, 리포솜 및 그 외의 능동적, 수동적 방법을 포함하는 최적 약물전달 방법의 설계 및 계속된 연구는 획기적으로 약물들의 활성을 발휘하게 할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새로운 방법들이 시도되었고, 개발되고 있으며 매년 시험되고 있다.
- 저자
- Mainardes, RM; Silva, LP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5(5)
- 잡지명
- CURRENT DRUG TARGE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49~455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