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분석에서 전자 코와 전자 혀의 응용(Applications of electronic noses and tongues in food analysis)
- 전문가 제언
-
□ 미국, 영국, 독일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전자 코(electric nose)는 인간의 후각시스템을 모방한 전자적 장치로서 사람의 후각세포에 대응되는 가스센서 배열과 사람 뇌의 인식기능에 해당되는 인공신경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대기환경, 식품의 품질관리, 의료분야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고 향후 감지재료 개발 여하에 따라 마약이나 폭약의 탐지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전자 혀(electric tongue)는 인간의 미각시스템을 모방한 전자적 장치로서 혀 세포처럼 맛을 보는 역할을 하는 센서배열과 패턴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혀의 기능을 대신하여 맛과 성분을 수 분 안에 분리해 낼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식품산업에서 품질관리와 가공작업에 사용되는 전자 코와 맛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 혀의 원리와 냄새와 맛의 감각을 설명하고 활용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미국, 독일, 영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스센서와 패턴인식 기법을 적용한 500개 정도의 고정용 및 휴대용 전자 코 시스템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주로 전도성 고분자 센서를 사용하고 있고 프랑스에서는 금속산화물 반도체 센서를 독일에서는 두 종류 모두 사용한 전자 코가 시판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전화기에 전자 코를 부착하여 통화하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전자 코를 로봇에 접목할 경우 인간에게 더욱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환경이나 군사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최근 미국에서 전자 코를 이용해 10~12g의 다이옥신까지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 국내에서도 현재 많은 산업분야에서 시각, 청각, 촉각 등에 대한 연구개발은 상당한 수준에 와 있지만 미각과 후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다양한 형태의 냄새 센서 개발은 산․학․연의 지속적 노력으로 초보단계를 벗어나고 있으며, 수년 내에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측된다. LG 정밀에서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이 추진 중이며 신호처리 기술 및 패턴인식 기법의 기술 미흡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국내 한 벤처기업에서 가짜 양주를 판별해 내는 휴대용 전자 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서울여대 식품공학과에서는 전자 코를 활용해 농산물 원산지를 감별해 내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특허를 얻었다.
- 저자
- Deisingh, AK; Stone, DC; Thompson,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39(6)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87~604
- 분석자
- 주*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