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사용할 수 있는 가상사설망(VPN) 구축 소프트웨어: SoftEther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기업의 사내 간, 사내-사외 간 통신 네트워크는 비용과 운영관리상의 어려움 때문에 점차 인터넷 기반의 가상 사설망(VPN)으로 변모하고 있다. 가상 사설망 구축에 많이 사용되는 IPSec(IP security protocol)의 사이트 투 사이트(Site-to-Site) VPN은 매우 안정적인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트 투 클라이언트(Site-to Client) VPN은 원거리상의 모든 컴퓨터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 관리, 유지 및 보수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새로운 액세스 솔루션이 요구되어 왔고, 지금은 Netscape사가 정착시킨 SSL(Secure Socket Layer)-VPN 기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 사이트 투 클라이언트 중심의 SSL-VPN은 기본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나 VPN을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별도의 장비나 소프트웨어 없이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면 되기 때문에 IPSec VPN에 비해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하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그래서, SSL-VPN은 일반 사용자, 협력사, 이동 사용자 및 재택근무자들에게 적합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 지금 일본에서는 SSL-VPN과 마찬가지로 https(http over SSL)를 사용하지만, 응용범위가 넓고 사이트 투 사이트에 장점이 더 많은 VPN 구축 소프트웨어인 SoftEther가 무상으로 공개되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SoftEther는 2003년 12월에 공개되어 1개월 만에 16만 건이나 다운로드 되었다. SoftEther는 무상이며, 방화벽 통과가 용이하고,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설정할 수 있다. 기업용으로 장점이 더 많은 것으로 평가되는 SoftEther에 대하여 개발자 자신이 장점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요약하고 다음 버전의 목표들을 기술하고 있다.
□ SoftEther는 잘못 사용하면 기존의 네트워크에 보안구멍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공개 후에 일시적으로 배포가 중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곧바로 다시 공개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SoftEther VPN 2.0」베타판도 2004년 12월부터 역시 무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SoftEther VPN 2.0은 통신과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고 인증기능을 추가하였으며, 하나의 VPN 서버에 최대 동시접속 수 4,096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이와 같은 자료는 국내의 관련 분야에서도 의미있는 자료이다.
- 저자
- NOBORI daiy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411)
- 잡지명
- NIKKEI communications(N20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92~199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