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요 창출을 위한 판금가공의 지상 과제

전문가 제언
□ 제조부가가치(Production Added Value, PAV)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공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상황 하에 비절삭가공의 일종인 소성가공에 있어 판금가공도 예외는 아니며, 새로운 가공의 부가가치창출이 필요로 되고 있다.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을 위해서는 종래의 방식을 답습해서는 안 되며,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접근법을 채용해야만 한다. 즉 다양하고 고도로 발전된 각개 기술의 유기적인 기술융합의 추진이 바로 그것이다.

□ 판금가공의 전환·진화·창조·재생을 위한 혁신에 유용한 신기술로, 첫째 레이저, 플라즈마, 초음파, 전자빔의 새로운 가공방법, 둘째 로보틱스, 다축복합 메커닉스, 스마트 금형의 장치류, 셋째 패러렐 메커니즘, 리니어 메커닉스의 선진제어기기, 넷째 정보해석, 수치시뮬레이션, CAE, KE, AI, 다섯째 프레스기계로는 디지털 프레스, 가상 프레스기계가 있고, 여섯째 계측기술로는 광학 일렉트로닉스, X-선, 감마선 계측기술이 있다. 이들 개개의 기술이 유기적인 융합을 이루면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판금부품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 판금제품의 가공기술에 있어 각개기술의 발전은 한계에 점차 접근해가고 있는 반면, 복수기술의 융합에 의한 혁신이나 진화의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다. 판금가공의 새로운 개념의 기술을 도입한 형상창조기능을 갖는 인크리멘털 포밍(incremental forming), 하이드로 포밍(hydro-forming), 테일러드 블랭크 포밍(tailored blank forming), 다이 프리 포밍(die free forming), 로터리 포밍 등의 새로운 성형법은, 신 부가가치의 창조와 단일품 생산에의 유연한 대응, 금형·공구의 겸용화에 의한 코스트 다운 등에 유효한 수단으로서 큰 기대가 되는 것으로 판금가공에 있어 복수기술의 융합에 대한 예이다.

□ 일반 공작기계에서도 복합화와 다축화가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는 현실에서 판금가공에서도 이종재료 블랭크(tailored blank: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기계적 성질이 다른 재료의 접합에 의해 만들어진 소재)의 딥 드로잉이나 자동차 하부구조 부품의 하이드로 포밍에 의한 성형은 새로운 판금기술로서 생산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주고 있다.
저자
Manabu KI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2(6)
잡지명
프레스기술(M17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8~22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