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염화 비닐, 첨가제, 환경 호르몬 등 여러 문제를 안고 있는 폐플라스틱

전문가 제언
□ 다이옥신은 자연계에 한 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토양이나 침전물 속에 축적되고 생물체내로 유입되면 수십 년 혹은 수백 년까지도 존재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건강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다이옥신은 특히 PVC 제제가 많이 포함되어있는 병원폐기물과 도시쓰레기를 태울 때 많이 생긴다. 일본국 내에서 발생한 다이옥신류 중 일반폐기물 소각로에서 발생한 것이 8%에 가깝고 산업폐기물 소각로를 포함하면 9%가 쓰레기 소각 관련 시설에서 발생된 것으로 밝혀졌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일본의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에 따른 부생물 즉 염화수소, 다이옥신 및 내분비교란물질인 환경 호르몬의 발생과 처리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석유계 플라스틱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 적용되고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문제점을 거시적으로 개괄 설명하고 있다.

□ 생산업자는 사용이 끝난 후에 버리는 것을 전제로 생산하고 폐기된 플라스틱은 지방자치단체가 일반폐기물 처리절차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로 폐기를 전제로 한 생산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많으며 천연재료로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음에도 환경을 고려한다는 의미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개발하고 있다.

□ 플라스틱은 그 우수한 특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는 반면에 재료, 첨가제의 종류 및 그들의 사용 처리방법에 따라 발생되거나 미치는 환경영향이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숙고해야 한다. 분석기술 발달로 미량의 화학물질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면 앞으로도 또 다른 유해물질이 플라스틱 제품이나 폐기과정에서 밝혀질지 모른다. 리스크를 보다 적게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은 물론 환경개선을 위해 각 주체가 주체성을 갖고 플라스틱 쓰레기 감량화를 실행하고 천연자원의 활용을 늘리는 것이 보다 중요한 목표라고 생각된다.
저자
MUR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0(5)
잡지명
월간폐기물(L24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30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