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량흐름으로 본 플라스틱 리사이클의 현황과 과제

전문가 제언
□ 현재와 같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 형 경제사회가 지속되는 한 금세기 중반 이전에 주요 천연자원의 고갈과 폐기물 처리계의 수용력 결여 등으로 경제성장은 어려워 질 것으로 예견되며, 따라서 다음 세대에게 가용자원과 쾌적한 환경을 물려주어 지속가능한 개발이 영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의 재활용(리사이클)이 강력하게 요망된다.

□ 리사이클의 목적은 환경 보전과 자원 확보를 도모하는 것으로, 리사이클 수행과정에 투하되는 에너지가 가능한 한 적어야 하고, 리사이클 대상폐기물이 가진 자원의 유효이용률이 높아야 우수한 리사이클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매년 약 400백만 톤의 폐플라스틱이 배출되고 있으나 재활용률은 17%에 불과해 연 300만 톤 이상이 매립 또는 단순 소각되고 있다. 2002년 현재 폐플라스틱 재활용률은 일본이 40%인 반면 한국은 17%에 불과하며 더군다나 잡종 플라스틱을 모두 파쇄하여 저급 플라스틱 용기를 만든 것 등을 재활용으로 본다면 재생되는 폐플라스틱은 그 보다 낮은 수준이 될 것이다.

□ 플라스틱의 재활용에는 재생이용, 고체연료화 및 분해이용법이 있으며 용도별로는 재료리사이클, 화학리사이클 및 열리사이클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재료리사이클이 효율성과 부가 가치 면에서 가장 경제성이 있으나 선별과 수집상의 애로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작년부터 그간 재료재활용(Material Recycling)이 어려워 대부분 매립 또는 단순 소각처리 하여왔던 혼합 및 복합 재질의 폐플라스틱을 고형화하는 연료화(RPF : Refused Plastic Fuel)의 품질ㆍ규격 기준을 환경부가 마련 고시하였다. 중장기적으로 폐플라스틱 발생량의 50%인 250만 톤을 연료화할 경우 연간 5천억원 이상의 직접적인 이익과 대기오염물질이 줄어드는 간접적 이익이 기대된다고 한다.

□ 자원 절약 면에서 폐플라스틱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단 생산된 플라스틱의 폐기물도 100% 리사이클이 가능한 자원이란 점을 항상 염두에 두고 경제성과 효율성이 높은 방향으로 재활용 내지 재생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저자
YAM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0(4)
잡지명
월간폐기물(L24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21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