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감염증과 안전 대책 ; 제균 기술의 최근 화제(Latest Topics on Microbe Removal Technology)

전문가 제언
□ 최근, 각종 내성균(SARS, MRSA 등)에 의한 병원 내에서의 감염 문제, 병원성 대장균 O-157, 비브리오, 살모넬라 및 황색 포도상 구균 등에 의한 식중독, 빌딩 옥상에 설치된 냉각탑 내의 냉각수에 증식하는 레지오넬라균 등 유해 미생물이 원인으로 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제균, 항균, 살균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 은(銀)은 오랜 동안의 많은 경험과 연구결과, 거의 모든 단세포 병원균의 신진대사(소화, 호흡)에 관여하는 특수한 촉매작용을 하는 것에 의해 무력화시킴으로써 병원균을 살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일본 Air Filter사는 제올라이트에 은을 담지(擔持)한 은계 항균제를 개발하여, 에어 필터에 첨가한 것을 공기청정기 및 공조 설비에 장착함으로써 제균, 항균, 살균 효과를 향상시킨 제품을 시판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요즘 같은 경제 불황 속에서도 공기청정기 시장은 상대적으로 호황을 누리며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 공기청정기가 주목을 받으면서 한국공기청정협회가 이미 성능이 검증된 제품에 CA(clean air) 마크를 부여하는 품질인증 제도를 도입했으며, 환경부도 실내 오존 기준을 설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 국내의 공기청정기 업계의 매출 1위인 청풍에 이어 LG, 삼성 등 대기업들이 최근 잇달아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웅진 코웨이, 청호나이스 등 정수기 업체 및 Nano T&C, 위닉스 등 생활 가전 및 냉난방 공조, 전문 업체 등이 시장 영역을 넓혀 공기청정기 사업에 진출하여 시장 쟁탈전이 치열한 상황이다.

□ 에어 필터의 살균효과는 에어 필터의 여과제가 포집된 미생물이 생존할 수 없게 함으로써 사멸시키는 것이지만, 실제적으로는 사용 중인 에어 필터 상에 상당한 미생물이 생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기술의 개발이 관건으로 되고 있다.
저자
Masayuki Okamoto ; Hayato Take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78(5)
잡지명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7~353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