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쇄의 구조와 기능성(2)
- 전문가 제언
-
□ 당쇄는 그 사이에 인터페이스로서 여러 가지 기능을 하고 있는 상당히 중요한 물질이며 상당한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사람의 얼굴이 모두 다른 것과 같이 당쇄는 세포의 얼굴을 변화시키는 분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의 연구는 지금 출발한 것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앞으로 아직 미지의 세계가 우주와 같이 넓혀져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만들어진 당쇄를 계통적으로 합성하여 그 구조와 기능을 해석하는 것에 의해 그 생리활성에는 여러 가지 인식단백질이 개재하고 있고, 각각의 당쇄가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존재하는 종의 당쇄 구조와 기능의 관계가 밝혀지게 되었다.
□ 이 연구는 천연형보다 비천연형의 화합물이 염기성아미노산과 상호작용한다고 하는 것을 밝혔다. 이와 같이 비천연형 화합물은 단백질과 단백질의 결합에 상당히 유용한 것이므로, 향후 이와 같은 화합물을 더욱 진화시키면 독소의 중화 또는 결합의 저해기능을 가진 분자의 약물 디자인과 결합되어 신약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접근에 있어, 상대가 효소인 경우나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하는 신경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 현재 sialyltransferase, sialidase, 황산전이효소, fucose전이효소 등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GM2 activator나 세포 그 자체인 백혈구의 면역제어 또는 뇌신경기능 등 여러 가지를 대상으로 분자수준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특히 최근에 선진국에서 새로운 신약 개발에 많은 기초차원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 우리나라의 각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도 BT첨단의 기초연구과제로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저자
- KIS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30(3)
- 잡지명
- 일본장유연구소잡지(J4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7~84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