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창호유리의 종류와 성능

전문가 제언
□ 유리는 건축을 발전시킨 근대건축 3대 발명품 중의 하나로 중요한 건축부재이다. 유리는 그 투명성으로 실내거주자에게 개방감과 조망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일사열과 일광을 도입시켜 실내를 따뜻하고 밝게 하고 비, 바람, 추위로부터 실내거주자를 격리시켜 건강과 안전을 유지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축요소이기도 하다.

□ 에너지문제가 대두되면서 유리는 열손실(heat loss)이 가장 많은 부위로 판명되었고 열손실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건물의 외피(envelope)를 구성하는 요소는 벽, 바닥, 지붕, 창호 등인데 이들 요소 중 열관류율(외피 단위면적당 열통과량, K-value)이 가장 높아 많은 열이 창유리를 통해 새어 나가고 있어 겨울철 난방부하를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와 관련하여 창의 구조와 열관류율을 건축법으로 정하고 있다. 열관류율은 지역별로 다르지만 창의 구조는 다중창이나 복층유리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 한편 열 획득(heat gain)도 유리가 가장 많은데 난방기간에는 난방부하를 감쇄하는 역할을 하지만 여름철 냉방기간에는 냉방부하를 증대시켜 에너지소비를 촉진하게 된다.

□ 그러나 창유리를 에너지성능에 초점을 맞추어 선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창을 통한 개방감과 조망감에 대한 인간의 욕구를 우선적으로 충족시키면서 부차적으로 에너지성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리의 여러 가지 특성을 파악하여 건물의 용도, 방의 용도에 알맞은 유리의 선택이 필요하다.
저자
Masashi Kikuta ; Taito Kinosh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2(6)
잡지명
건축설비와 배관공사(J18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27
분석자
유*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