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연기에 대한 공기청정기의 효과
- 전문가 제언
-
□ 우리 인간은 하루 중 약 90%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낸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기타 실내공간에서 그리고 차 안에서 생활하므로 쾌적한 실내환경의 유지 및 조성은 우리의 건강 및 위생에 아주 중요하다.
□ 지금까지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는 공장폐수,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분진, 토양오염 등 옥외(outdoor)에 전적으로 한정되었을 뿐 실내(indoor)의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간과해왔다. 최근 신축아파트에 입주한 사람들로부터 새집증후군을 호소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 실내환경의 오염은 건물에 시공된 건축재료와 각종가구, 난방기기, 생활용품사용, 인체활동, 스프레이용품 등에서 비롯되며 오염된 외기의 유입도 무시할 수 없는 오염원이다.
□ 실내의 담배흡연 역시 indoor air quality(실내공기질)를 떨어뜨리는 중요한 원인인데 흡연 시 각종 유해가스, 유기물, 먼지 등이 확산되어 실내를 오염시킨다. 특히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피해가 알려진 것보다 심각하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는 등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해야 하는 근거가 확실해져 우리나라도 실내외를 불문하고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고 있다.
□ 끽연권이나 혐연권 모두 중요한 권리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혐연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끽연이 될 수 있다면 존중해주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흡연을 무조건 금지할 것이 아니라 환기장치와 공청정장치가 갖추어진 끽연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조금이나마 끽연자의 권리와 기호를 배려하는 여유를 가진다면 어떨까?
- 저자
- Masahiko Kag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2(5)
- 잡지명
- 건축설비와 배관공사(J18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3~38
- 분석자
- 유*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