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농림지수질화학연구의 새로운 전개(Evolution of Water Chemistry and Technology in Forests and Farmlands)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이 결론에서 제안하고 있듯이 일본뿐만 아니고 벼농사를 위주로 하는 한국이나 중국 및 대만이나 태국 등도 아직 눈뜨고 있지 못하는 농지와 임야에서 유출되는 오염부하와 이를 낮추기 위한 기술적인 접근과 연구를 공동보조를 취하자는 제안은 퍽 신선한 느낌을 준다고 믿어진다.

□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농지나 임야에서 비롯되는 환경오염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시작되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림의 변화나 농지이용형태의 변화 및 화학비료나 병충해방제를 위한 농약사용 등에서 일본과 상당히 유사한 흐름을 걷고 있음이 사실이다.

□ 또한 비점오염문제의 해결없이 해양환경까지를 포함한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이룰 수는 없기 때문에 지역적, 계절적,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한 실측의 곤란성 등이 문제로 제기되지만 이를 극복하고 농림지의 수질화학적인 오염부하에 대한 한국고유의 모델을 빨리 도출하여 농림지로 인한 환경오염이 더 확대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우리나라 형편에선 아직 접근하기 어려운 농림지에서 유래되는 수질화학적 오염부하에 대한 일본에서의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이나 방향을 종합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분야에 관심있는 국내 연구자들에게 수질보전적 산림의 관리기술을 개발하고 오염부하가 적은 영농기술의 개발 및 보급에 관한 연구필요성뿐만 아니라 연구방향을 설정하는데도 상당히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리라 확신합니다.
저자
Takao KUNIMATSU ; Yukio KOMA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5)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64~370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