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기 확산모델의 행정에의 이용(Regulatory application of air quality models)

전문가 제언
□ 대도시의 대기질 관리문제는 각국에서 초미의 관심사가 되어 오염저감을 위한 방지대책과 함께 확산 희석시켜서 자연 정화시키는 방법이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다.

□ 환경관리를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확산 정보가 중요하며 이에는 직접 측정, 풍동실험과 수치모델 방법 등이 있는데, 수치모델은 조건 변화가 용이해서 대기 확산모델로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 대기의 시공간적 불규칙 변화에 의해 일반 모델에서 점차 지역 특성이 반영된 대기 확산모델로의 변화가 되고 있고, 이를 위한 입력자료 개선이나 모델계산 결과의 검증을 위해서 야외확산 실험도 시도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1990년 국립환경연구원에서 미국의 CDM-2를 참고하여 서울지역의 지형 및 기상조건을 반영한 SCM-3.2를 개발 실용화한 이래 ´96년부터 대기질 예측모델 실용화 사업으로 지침서 등을 작성 보급하고 있다.

□ 이에 따라 평지, 복잡 지형과 이동오염원 등에 각각 적합하게 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며, 황사 등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을 위해 장거리 이동 모델인 CADM을 이용하는 등 활발한 국제 활동에도 나서고 있다.

□ 다만, 위에서 살펴본 내용과 같이 오염농도의 예측치와 실측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와 국제적인 협력 하에 긴밀한 정보교류에 더욱 나서주기를 기대한다.
저자
Shinichi OK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3)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7~203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